□ 보건복지부 다함께돌봄센터의 서비스 제공 시간을 아침·저녁으로 확대하는 “운영시간 연장 시범사업” 2022년 3월부터 실시
○ 올해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다함께돌봄센터는 총 30개소로, 돌봄 수요, 센터 규모, 연장 가능 여부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 됨
□ “운영시간 연장 시범사업”은 맞벌이 가구의 출퇴근 시간 초등돌봄 지원을 위해 다함께돌봄센터 표준 운영시간* 외 아침·저녁 각각 2시간씩 연장** 운영하는 사업
* (학기 중) 14:00∼19:00, (방학 중) 09:00∼18:00
** (아침) 07:00∼09:00, (저녁) 19:00∼21:00(방학 중 18:00∼20:00)
○ 연장 시간 동안 다함께돌봄센터는 아동 출결 관리, 급·간식 지원 등의 돌봄서비스 중심으로 운영*
* 세부 프로그램ㆍ이용료 등은 센터별 여건에 따라 구성ㆍ상이

○ “운영시간 연장 시범사업”에 참여하는 센터는 다함께돌봄사업 누리집(www.dadol.or.kr)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, 이용을 희망하는 경우 해당 센터에 전화로 문의한 후 신청이 가능하다.
*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다함께돌봄센터 현황은 [붙임1] 참조
○ 참고로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센터에는 연장 돌봄서비스 제공을 위한 돌봄 인력 확충 인건비·운영비 예산을 추가로 지원한다.
□ 그간 초등학생 부모의 양육 부담 증가, 특히 맞벌이 가구의 틈새 돌봄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.
* ‘2022년도 범정부 온종일돌봄 수요조사’ 결과 틈새 돌봄 수요
- 오전 7시~수업 전 8.22%, 오후 6~7시 7.48%
- 오후 7~9시 1.76%
○ 하지만 기존 다함께돌봄센터의 표준 운영시간만으로는 부모의 출퇴근 시간대 아동 돌봄 수요를 충족시키기엔 어려움이 있음
○ 따라서 “운영시간 연장 시범사업”을 통해 보다 촘촘한 돌봄서비스를 제공하여, 출퇴근 시간대 초등학생을 돌봐 줄 곳을 찾던 부모들의 부담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 됨
□ 한편, 다함께돌봄사업은 안전하고 접근성 높은 지역 내 공공시설 등을 활용하여 돌봄이 필요한 초등학생들에게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, 지난 2017년부터 시작
○ 2021년 12월 말 기준 전국 694개소에서 약 1만 7,000여 명의 아동들이 다함께돌봄센터를 이용
- 지난해 자체적으로 실시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결과에서 91.6점으로 높은 점수를 달성하는 등 양질의 돌봄서비스를 제공 중
* 다함께돌봄센터는 소득과 무관하게 정부24 온종일 돌봄 원스톱 서비스(www.gov.kr)를 통해 신청 가능하며, 센터별 맞벌이 가구 등 이용 우선순위를 정함
- 특히, 코로나19 유행 상황 속 센터가 휴원하더라도 돌봄이 필요한 아동들에게 긴급돌봄을 제공하며 초등돌봄 공백 방지에 기여
○ 보건복지는 올해 다함께돌봄센터를 추가로 450개소 설치해 초등아동 돌봄서비스 제공기반을 강화할 예정
[ 22년 운영시간 연장시범사업 대상 센터 리스트 ]
연번 | 시도 | 시군구 | 센터명 | 주소 | 연락처 | |
1 | 서울 | 동작구 | 사당5동 우리동네키움센터 | 서울시 동작구 사당로 154, 2층 | 02-585-0406 | |
2 | 서울 | 동작구 | 사당2동 우리동네키움센터 | 서울시 동작구 동작대로 29가길 30, 2층 | 070-7204-3006 | |
3 | 부산 | 북구 | 만덕아이꿈자람터 | 부산시 북구 만덕3로 14, 2층 | 051-343-2200 | |
4 | 부산 | 사하구 | 장림꿈꾸는아이자람터 | 부산시 사하구 하신중앙로 8, 3층 | 051-266-3326 | |
5 | 대전 | 동구 | 다함께돌봄센터 무지개 | 대전시 동구 계족로 457번길 38-9, 3층 | 042-636-2004 | |
6 | 경기 | 성남시 | 성남시다함께돌봄센터(수자인금광어린이식당) | 성남시 중원구 광명로 411 | 070-7585-2335 | |
7 | 경기 | 성남시 | 성남시다함께돌봄센터(구미동어린이식당) | 성남시 분당구 무지개로 144 | 031-714-7670 | |
8 | 경기 | 성남시 | 성남시다함께돌봄센터(은행1동 어린이식당) | 성남시 중원구 자혜로57번길 1, 2~3층 | 031-751-6150 | |
9 | 경기 | 파주시 | 탄현면다함께돌봄센터 | 파주시 방촌로 685 | 031-957-1006 | |
10 | 경기 | 오산시 | 오산시 함께자람센터 2호점 | 오산시 경기대로 99-15, 관리사무소 지하 1층 | 031-373-4862 | |
11 | 경기 | 의왕시 | 부곡동 다함께돌봄센터 | 의왕시 부곡시장실 75, 부곡동주민센터3층 | 031-345-2768 | |
12 | 경기 | 성남시 | 성남시다함께돌봄센터(백현마을3단지어린이식당) | 성남시 분당구 동판교로 92 | 031-703-8885 | |
13 | 경기 | 성남시 | 성남시다함께돌봄센터(고등마을어린이식당) | 성남시 수정구 고등로 57 | 031-759-8817 | |
14 | 경기 | 연천군 | 연천군 다함께돌봄센터 1호점 | 전곡읍 전곡역로 48번길13, 1층 | 031-832-1098 | |
15 | 경기 | 안성시 | 안성시다함께돌봄센터1호점 | 안성시 내리7길 16 | 031-672-1061 | |
16 | 경기 | 수원시 | 다함께돌봄센터9호점 | 수원시 권선구 서수원로 99, 수원권선꿈에그린아파트 | 031-297-9176 | |
17 | 경기 | 파주시 | 교하노을빛마을 다함께돌봄센터 | 파주시 숲속노을로 297 주공2단지 관리동 2층 | 031-939-2273 | |
18 | 경기 | 파주시 | 문산선유3단지 다함께돌봄센터 | 파주시 독서울1길 39, 관리동 2층 0003호 | 070-4105-7900 | |
19 | 경기 | 파주시 | 교하책향기마을13단지 다함께돌봄센터 | 경기 파주시 책향기로 210, 관리동1층 | 070-4105-8009 | |
20 | 강원 | 원주시 | 원주시 다함께돌봄센터 아이행복마을 | 강원도 원주시 북원로 2704번길 13 | 033-732-7925~6 | |
21 | 강원 | 정선군 | 가온누리돌봄센터 |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새골길27 | 033-378-7772 | |
22 | 충북 | 진천군 | 천년나무4단지 다함께돌봄센터 | 충북 진천군 덕산읍 연미로 87 | 043-535-2202 | |
23 | 충북 | 청주시 | 청주시오창다함께돌봄센터 |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2산단4로 55, 오창2산단대원칸타빌아파트 | 043-212-3357 | |
24 | 충남 | 아산시 | 행복이다함께돌봄센터 | 아산시 온중로 33-2 | 041-911-5060 | |
25 | 전북 | 전주시 | 야호하가오투다함께돌봄센터 | 전주시 완산구 경동로 19 | 063-278-1004 | |
26 | 전북 | 군산시 | 군산시다함께돌봄센터(밝은마음키움터) | 군산시 미룡로 12, 미룡주공 1단지 관리사무소 2층 | 063-464-8005 | |
27 | 전남 | 장흥군 | 장흥공존다함께돌봄센터 | 장흥읍 건산리 395-3 | 061-864-3312 | |
28 | 전남 | 장흥군 | 장흥아오로다함께돌봄센터 | 장흥읍 동부로 40 | 061-863-2345 | |
29 | 경북 | 의성군 | 의성군다함께돌봄센터(의성키움마을돌봄터) | 경북 의성군 의성읍 동서1길 73, 의성키움센터2층 | 054-833-6002 | |
30 | 경남 | 창원시 | 창원시 다함께돌봄센터 내서우아한클럽 |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광려로 28, 대동이미지아파트 1단지 관리동 2층 | 055-296-5665 |
[ 2021년 다함께돌봄센터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 ]
□ 조사개요
○ (대상·방법) 다함께돌봄센터를 1개월 이상 이용한 아동 보호자 1,097명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(’21.10.29.~12.10.)
○ (내용) 다함께돌봄센터 이용 만족도(프로그램, 종사자, 시설 및 환경, 전반적 만족도, 긴급돌봄 등), 센터 이용, 응답자 특성, 제안사항 등
□ 조사결과
○ (총괄) 전체적인 이용 만족도는 5점 만점 기준 4.58점(100점 환산 91.6점)
○ (전반적 만족도) ‘매우 그렇다’ 783명(71.4%), 그렇다 278명(25.3%)으로 전반적 만족도 평균 점수는 4.67점
- 특히, 계속 이용의사 1,061명(96.7%), 주변 이용 권유 1,063명(96.9%)가 높게 나타나, 실제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음을 확인
○ (영역별 만족도) 이용서비스 만족도는 4.56점, 종사자 만족도는 4.51점, 시설 및 환경 만족도는 4.61점
- 이용서비스 만족도 중 ‘안전한 귀가’ 항목이 4.69점으로 가장 높음
○ (긴급돌봄 만족도) 긴급돌봄서비스 만족도는 4.66점, 주변 권유 의향은 4.64점으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남
'기타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폐기물관리법 시행령 개정안 등 입법예고 (0) | 2022.03.05 |
---|---|
[한국은행] 2022년 1월 금융시장 동향 발표 안내 (0) | 2022.03.04 |
국내 자동차 (신차) 공기질 분석 결과 (0) | 2022.03.02 |
표준 비밀 유지계약서 양식 파일 (0) | 2022.02.18 |
2022년도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 통합 시행계획 (0) | 2022.02.16 |